다음은 SPSS(IBM SPSS Statistics)를 활용해 사회학 논문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분석 절차 5가지와 각각의 활용 시점에 대한 설명이다. 사회학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통계자료, 관찰 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분석해 사회현상을 규명하고 가설을 검증하는데, SPSS는 그래픽 사용자 환경(GUI)과 폭넓은 통계 기능을 제공해 초보 연구자부터 숙련자까지 널리 사용된다.
첫째, 빈도분석(Frequencies)은 사회학 연구의 데이터 탐색 단계에서 가장 먼저 수행되는 절차다. 범주형 변수의 분포, 백분율, 누적비율 등을 파악하여 표본 특성을 이해하고, 결측치나 이상치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 예를 들어 성별, 학력, 직업 분포를 제시하면 독자는 연구 대상의 기본적인 구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기초 통계는 논문의 신뢰성을 높이는 기반 자료로 활용된다(Valparaiso University, Using SPSS to Understand Research and Data Analysis).
둘째, 교차분석(Crosstabs)과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은 두 범주형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예컨대 성별과 투표 성향, 지역과 정책 지지 여부의 관련성을 검증할 때 적용된다. 이를 통해 두 변수 간의 독립성 여부를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사회학에서 집단 간 차이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중요한 기초 분석 도구다(Sociology Institute, Introduction to SPSS Data Analysis).
셋째,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은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종속변수가 연속형일 경우에는 선형회귀(Linear Regression), 범주형일 경우에는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가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교육 수준, 나이, 성별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거나, 특정 정책 지지 여부를 예측하는 모델을 구축할 때 쓰인다. 회귀분석은 통제변수와 상호작용항을 포함시켜 복잡한 사회적 관계를 모형화할 수 있어 사회학적 가설 검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Arxiv.org,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Modeling).
넷째,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주성분분석(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은 다수의 변수에 내재된 공통 요인을 추출하거나 데이터 차원을 축소하는 방법이다. 사회학에서는 설문 척도 개발이나 잠재 개념 측정에서 빈번히 사용된다. 예컨대 ‘사회적 자본’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여러 문항을 통해 측정한 뒤, 이 문항들이 몇 개의 요인으로 묶이는지 탐색할 수 있다. 주성분분석은 변수 간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주요 축을 찾아내어 복잡한 데이터를 단순화한다(Encyclopedia of Social Measurement, Elsevier).
다섯째, 다중 대응분석(MCA,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은 여러 범주형 변수 간의 연관 구조를 시각화하는 다변량 분석 방법이다. 이는 특히 응답 유형이나 선택 패턴을 분석하는 설문조사에서 유용하다. 예를 들어 정치 성향, 생활 습관, 미디어 이용 패턴을 동시에 분석하여 유사한 응답 집단을 2차원 좌표에 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범주형 데이터의 숨겨진 관계를 발견하고 직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Wikipedia,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이 다섯 가지 방법 외에도 사회학에서는 성향점수매칭(PSM, Propensity Score Matching)과 같은 기법이 비실험 자료에서 인과 효과를 추정하는 데 활용된다. 무작위 실험이 어려운 사회조사 상황에서 PSM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집단을 매칭해 비교함으로써 보다 타당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Arxiv.org, Matching Methods for Causal Inference).
결론적으로, SPSS는 사회학 연구에서 데이터 구조 파악부터 변수 간 관계 검증, 인과 모형 구축, 잠재 요인 탐색, 범주형 데이터 시각화까지 다양한 분석 절차를 제공한다. 연구자는 연구 목적과 데이터 특성에 따라 적절한 분석 기법을 선택함으로써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사회현상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목표로 하는 사회학에서는 이러한 통계 절차가 필수적이며, SPSS는 그 과정을 직관적으로 지원하는 대표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출처
-
Valparaiso University. Using SPSS to Understand Research and Data Analysis.
-
Sociology Institute. Introduction to SPSS Data Analysis.
-
Arxiv.org.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Modeling.
-
Encyclopedia of Social Measurement. Elsevier.
-
Wikipedia.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
Arxiv.org. Matching Methods for Causal Inference.